한국의 아름다운 숲
광주-화순 잇는 옛길, 가을에 걷기 딱입니다
<햇살이 산 속으로> – 손광은산빛을 따라/넘어오는 소리가/햇살처럼 모이고/사는 일이 있었던가출렁이는 물결처럼/흩어진 햇살이 뛰어 다니듯/바람소리처럼/그늘이 소리내어 밀리듯/햇살이 산 속으로 스며 듭니다살아 있는 저 소리처럼/저녁놀이 어스름 속으로/빨려듭니다산빛을 따라/사는 일이 있었던가/밀어 내고, 밀어나가고,/햇살이 산 속으로 스며 듭니다.
※ 전남 화순 너릿재옛길은 제13회 아름다운숲전국대회 공존상 수상지 입니다.
<오마이뉴스>와 <(사)생명의숲국민운동>은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수상한 '한국의 아름다운 숲' 50곳 탐방에 나섭니다. 풍요로운 자연이 샘솟는 천년의 숲(오대산 국립공원), 한 여인의 마음이 담긴 여인의 숲(경북 포항), 조선시대 풍류가 담긴 명옥헌원림(전남 담양) 등 이름 또한 아름다운 숲들이 소개될 예정입니다. 우리가 지키고 보전해야 할 아름다운 숲의 가치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이 땅 곳곳에 살아 숨쉬는 생명의 숲이 지금, 당신 곁으로 갑니다. [편집자말]
생명의숲이 더하는 이야기
아픈 역사가 깃든 너릿재따라…
1971년에 너릿재 터널이 완공되기 전에까지 사람들은 이 길을 따라 넘나들었다. 동학혁명 때에는 이곳에서 수많은 농민이 처형당했고 1946년 8월 15일, 해방 1주년에는 광주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가하고 너릿재를 넘어가던 화순 탄광 노동자들이 미군에 의해 학살당하기도 했다. 30 여명이 죽고, 500여 명이 부상당했다는데 이들은 전국 노동조합평의회 소속 노동자들로 이 학살 사건은 같은 해 ‘9월 총파업’의 불씨가 되었다고 한다. 1980년 5.18 민중항쟁 때에는 화순과 광주가 오가던 시민군들이 공수부대의 총격으로 사망하기도 했다.
화순군민의 애환이 서려 있는 옛 국도 29호선, 너릿재 옛길
너릿재는 노루목, 노룻재, 누릿재와 같은 의미로 주된 길, 주요 통로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자로 쓸 때는 판치라고 해 널의 의미를 담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옛날 깊고 험한 너릿재를 넘던 사람들이 산적이나 도둑들에게 죽임을 당해 판, 즉 널에 실려 너릿 너릿 내려온다고 해서 너릿재라고 불리었다고도 한다. 너릿재는 화순의 진산인 만연산과 안양산을 거쳐 무등산으로 이어지고 있는 백두대간 호남정맥의 지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1971년 너릿재 터널이 완공되기 전까지 화순사람들의 삶의 애환과 역사를 가진 유서 깊은 고갯길이다. 지금은 모든 아픈 역사를 뒤로하고 한적하고 아름다운 벚꽃길로 인기를 끌고 있다. 경사가 완만하고 조용해 혼자 느릿느릿 걸어도 좋은 길이다.
화순의 관문이며 화순군민들의 애환이 서려 있는 옛 국도 29호선 너릿재 옛길. 지금은 그 밑으로 터널이 뚫려 도로로는 이용하지 않고 있지만, 산책을 하거나 옛 정취를 느끼려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예전에는 역사의 한 장소였지만 지금은 그저 호젓한 숲길로 연인들이나 가족들의 드라이브 코스로 인기를 끌고 있다. 봄에는 벚꽃으로, 늦가을에는 붉은 낙엽으로 제법 멋진 광경을 볼 수 있어 일상에 지친 사람들의 치유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이 숲을 추천합니다!
광주와 화순을 잇는 아픈 역사의 숲이고 과거 문명이 발달하지 못한 때 비포장도로에 굽이굽이 산 고개를 낡은 통학버스가 힘들게 넘나드는 추억이 서린 곳. 지금은 아름드리 벚꽃이 무척 아름답다. - 윤승동님
<심사평>
숲길이 완만하여 남녀노소 누구나가 부담 없이 걸을 수 있고 반대편 광주의 포장된 구간에 비해 자연스러운 숲길을 유지하고 있어 최적의 탐방코스를 제공하려는 지자체의 의지가 돋보인다. 계곡부에는 편백나무 등이 경제림으로 풍요를, 중부 이상은 소나무와 천연수종으로 이루어져 옛길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문화와 역사, 이야기가 담겨 있는 숲길로 화순 지역의 자랑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너릿재 옛길은?
- 면적 : 총 길이 약 2.1km
- 주요수종 : 벚나무, 편백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 관리주체 : 전라남도 화순군청 ( 061-379-3731 / www.hwasun.go.kr)
<오마이뉴스>와 <(사)생명의숲국민운동> 이 함께 만드는 '한국의 아름다운 숲' 50곳 기사는 생명의숲과 오마이뉴스, 기자님이 저작권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생명의숲은 사람과 숲이 건강하게 공존하는 숲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시민과 함께 숲을 가꾸고 보전하는 환경단체(NGO) 입니다. 다음세대를 위한 초록 땅, 지구를 물려주고자 합니다.
생명의숲은 자연과 하나되는 풍요로운 농산촌을 꿈꿉니다.
생명의숲은 시민과 함께 돌보고 가꾸는 도시숲, 도시공동체를 꿈꿉니다.
생명의숲은 생태적으로 건강한, 지속가능한 사회를 꿈꿉니다.
문의 : 생명의숲 02-735-3232 | forestfl@chol.com | http://www.forest.or.kr
생활혁신기업 - 유한킴벌리
유한킴벌리(대표이사 사장 최규복 / 崔圭復)는 1970년 3월 30일 유한양행과 킴벌리클라크의 합작회사로 설립되어 우리나라 최초로 생리대, 미용티슈, 위생기저귀 등 좋은 품질의 제품들을 대량 생산, 공급하고, 지속적 제품혁신을 통해 국민 생활위생문화 발전에 기여하며 사랑받아 왔습니다. 1984년부터 사회공헌활동으로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을 통해 숲 환경 보호 및 미래세대 환경리더 양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왔으며, 우리강산푸르게푸르게 30년이 되는 2014년까지 5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가꾸어 나갈 계획입니다.
[한국의 아름다운 숲 36] 이 마을엔 '무병장수' 열매가 있다 - 경남 하동 직전마을 (0) | 2013.11.15 |
---|---|
[한국의 아름다운 숲 35] 125km 늘어선 감나무 가로수, 주인 누구? - 충북 영동 감나무 거리 (0) | 2013.11.11 |
[한국의 아름다운 숲 33] 정약용 18년 유배, 여기라 버틸 수 있었구나 - 전남 강진 다산초당~백련사간 숲길 (0) | 2013.10.21 |
[한국의 아름다운 숲 32] 걷기만 해도 '좋은 기운' 듬뿍? 이름도 특이한 '까끔길' - 전남 완도 난대림 푸른 까끔길 (0) | 2013.10.14 |
[한국의 아름다운 숲 31] 순천 도심에 떠있는 '섬', 애인과 꼭 다시 올 겁니다 - 전남 순천 죽도봉 숲 (0) | 2013.10.05 |